본문 바로가기

토러스의 보험정보

연금저축보험 손해 왜 생길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암보험이나 건강보험은 보장성보험상품이기 때문에.. 보장을 받지 못한채 만기가 되면.. 결과적으로 손해를 본 것이 되어버립니다.



하지만 연금저축과 같은 저축성보험상품은 우리가 납입한 보험료에 금리가 덧붙여져 우리는 더 많아진 금액을 받기 때문에.. 손해가 발생한다는 이야기를 이해하기가 어렵죠..


그러나 분명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하고 손해를 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왜 손해가 생길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중간에 해지를 했기 때문입니다. 연금보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신 분들은 연금도 적금처럼 해지 할 경우 납입한 적립액을 그대로 돌려받을 수 있겠지..라고 생각하시는데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이점 명심하셔서 신중하게 선택하셔야만 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우리가 납입하는 보험료 모두가 연금수령을 위한 적립액으로 쌓이지 않습니다.


사업비, 보장보험료등의 명목으로 일부가 빠져나가고 나머지가 적립액으로 쌓이게 됩니다. 그래서 쌓이는 금리가 손익분기점을 넘어서지 않는 시점에서.. 혹은 보험사에서 정해놓은 특정 시기에 도달하기 전에.. 해지를 하면.. 말그대로 연금보험 손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사업비? 보장보험료? 왜 빠져나가나?



보험상품과 같은 재테크상품에는 사업비라는 것이 적용됩니다. 연금저축도 마찬가지로 이 사업비가 적용되죠~


사업비는 일종의 운용 비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서 연금저축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이죠~ 그래서 연금저축보험을 고를때는.. 단순히 수익률, 즉 금리 뿐만 아니라 사업비의 비율도 비교해보고 고르셔야 합니다.


그리고 보장보험료는 해당 연금보험상품에 보장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빠져나가게 되는 보험료입니다.


어떤 연금저축에는 기본적으로 사망보장이나 장해보장등이 포함되어 있어.. 보장보험료를 항시 포함되어 있으며, 또 어떤 연금저축의 경우.. 보장기능이 제외된 순수 연금기능만을 지니고 있어.. 보장보험료가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적립이 됩니다.


때문에 연금저축을 비교해볼때 이 부분도 잘 따져보셔야 합니다.


손해가 안생기도록 연금저축보험을 비교해보고 고르려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부분들을 잘 따져보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안전한 해지 시점은 언제인지.. 해지 시 환급금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사업비와 보장보험료는 또 어떻게 되는지..등 다양한 부분들을 세세하게 비교해보고, 실제 본인에게 이득을 주는 연금저축으로 고르셔야 해요~